📜 제목으로 보기

✏마지막 댓글로

  • R 고급 실습(ps matching with datacleaning-dplyr, MatchIt, tableone-CreateTableOne, geepack-geeglm, broom-회귀계수를 OR로 변환) 포함됨

학습목표

  • PSA 방법 중 stratification, weighting, covariate adjustment 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PSA를 사용한 임상논문을 읽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임상연구를 수행할 때 주의해야할 점을 설명할 수 있다.

주요용어

  •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 : 각 환자가 실제로 받은 treatment를 받을 확률의 역수를 weight로 사용하는 방법. 치료군과 대조군을 비교하는 PSA에서는, 치료군에 1/PS, 대조군에 1/(1-PS)의 weight를 준다.

목차

  1. PS 추정 후 분석방법
  2. 예제 논문
    • matching과 IPTW가 가장 많이 쓰인다.
  3. 임상연구 Do’s and Don’ts

PS 추정 후 분석 방법

PS 추정 후 분석방법(4가지)

  • Matching
  • Stratification
  • Weighting
  • Covariate adjustment 20220517204536

Matching

  • 지난 시간 학습한 PSA 방법
  • PS가 비슷한 치료군 환자와 대조군 환자를 짝짓는다
  • 짝지어지지 않은 환자는 분석에서 제외한다
  • 장점 : 직관적으로 이해가 쉽다
  • 단점 : 짝지어지지 않는 환자의 데이터를 잃어버린다 20220517204604

Stratification (요즘 비추)

  • PS가 비슷한 환자들끼리 strata를 나눈다 (보통 4~5개)
  • 각각의 stratum에서 (치료방법과 )outcome(의 상관관계를 분석)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전체 strata에 대해서 합친다
  • PS score가 같은 그룹 / 중간 그룹 / 큰 그룹을 각각을 stratum으로서 그룹을 나누고
    • 그룹별(stratum별) 분석하고
    • 나중에 합친다. 20220517205432
  • 단점:
    • strata를 나누는 기준이 뚜렷하지 않다
      • PS score 몇을 기준으로 나눌지 기준 X가 대부분
    • stratum 별로 (너무) 다른 결과가 나올 경우 해석의 문제
      • 한쪽에서는 상관관계 높, 한쪽에서는 낮.. 어떻게 합치고 어떻게 해석할지 애매해짐
    • 요즘은 안쓰이는 방법

Weighting (IPTW,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 probability of treatment의 역수이다.
  • 치료군의 weight는
    • probability of treatment = 치료 받을 확률 = 치료군에 속할 확률 = PS score자체
    • 치료군의 weight =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 1/PS
  • 대조군의 weight
    • 대조군의 probability of treatment = 치료받지 않을 확률 = 1 - PS
    • 대조군의 weight: 1/(1-PS)
  •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를 weight로 준다
    • 치료군 weight : 1/PS
    • 대조군 weight : 1/(1-PS)
  • 이렇게 weight를 준 데이터에서는 치료군과 대조군 간 PS 분포가 비슷해진다
    • PS 추정에 쓰인 변수들의 분포(confounding)가 비슷해진다
  • why? weight를 주면 PS가 비슷해질까?

    • 각 stratum별 치료여부별(치료군/대조군별 각각) probability of treatment를 계산해보자.
      1. PS가 작은 (원의 size가 작은) 환자들을 보면, 총 8명 중 2명이 치료를 받았다.
        • 치료군 PS(치.속.확) = 1/4 20220517211450
        • 대조군 PS = 3/4 20220517211523
      2. 중간 size 환자들 20220517212304
      3. 큰 size 환자들 20220517212321
    • 각 stratum별 치료여부별 PS(probability of treatment)를 Inverse해서 weight로주자. 20220517212506
      1. 작은 size 환자들은 weight가 1보다 큰 4/3이다. 6명 -> 8명으로 뻥튀기 되는 효과를 가진다.
        • 대조군: 6명 x 4/3 = 8명
        • 치료군: 2명 x 4 = 8명
      2. 중간size
        • 대조군: 2명 x 5/2 = 5명
        • 치료군: 3명 x 5/3 = 5명
      3. 큰size
        • 대조군: 1명 x 4 = 4명
        • 치료군: 3명 x 4/3 = 4명
    • weight를 준 데이터를 보면, 대조군과 치료군 사이에서, PS의 분포가 완전히 똑같아진다.
      • PS 역수를 weight로 주어 뻥튀기된 데이터를 이용하면, 2군간 PS가 같아져서 balance가 맞게 됨을 이용하여 -> 2군간의 confounding이 없어진다.
  • 장/단점

    • 장점 : outcome 분석 방법의 flexibility
      • R에서는 weight를 줘서 분석하기에 편함. 다 적용 가능.
    • 단점 : 직관적 이해가 어려움
      • 간단한 예제도 여러 계산을 거침. matching처럼 확 이해되지 않음. Weighted data에서의 치료군과 대조군의 balance를 평가해야한다
  • PS matching과 마찬가지로 SMD 이용 Weighting 이후 분석 : weighting을 고려한 분석을 해야 한다
  • 회귀분석 : weight 사용. robust variance estimator 사용.
  • Survival outcome의 경우: adjusted Kaplan-Meier curve, modified log-rank test
  • PS matching과 마찬가지로, 치료군/대조군 여부 이외에 다른 공변량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나, 포함을 할 경우 doubly robust 해진다

  • 주의점

    • 경우에 따라서 PS가 0에 가깝거나 1에 가까워서 weight의 분모가 무한대 or 0에 근접하는 경우가 있어서 분석 결과가 불안정하게 된다.
      • weight를 안정화시켜주는 방법들이 개발되어있다.
    • Stabilized weight(추천):
      1. marginal probability of treatment (MPT) : 전체 환자 n명 중 치료군 m명의 비율 -> 계산이 간단함.
        • 환자 특성 고려없이 전체적으로 봤을 때 치료군에 속할 확률
      2. 치료군 weight에는 바로 곱해준다. : MPT x (1/PS)
      3. 대조군 weight에는 (1-MPT)를 곱해준다 : (1-MPT) x (1/(1-PS))
      • IPWS보다는 더 안정적으로 값을 가지며, 2군간의 weight된 데이터가 PS분포가 비슷한 것 자체는 유지됨.
    • trimmed or truncated weights
      • Stabilized weight의 방법외에 weight가 너무 크거나 작은 환자를 분석에서 제외 or 분석에 포함시키되 weight값을 truncate(한계점 넘어가면 잘라내서 고정)해주는 방법도 있다.
  • weight된 데이터는 PS matching처럼 balance가 잘 맞을까?

    • PS matching과 마찬가지로 SMD 이용해서 평가한다
  • Weighting 이후 분석 : weighting을 고려한 분석을 해야 한다

    • 회귀분석 : weight 사용.
      • 매칭처럼 p-value/신뢰구간 계산시 robust variance estimator 사용.
    • Survival outcome의 경우: adjusted Kaplan-Meier curve, modified log-rank test
      • weight를 줄 경우 시행해주는 평가방법?!
    • PS matching과 마찬가지로, 치료군/대조군 여부 이외에 다른 공변량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나, 포함을 할 경우 doubly robust 해진다

Covariate adjustment

  • 4번째 PS 방법
    • PS 추정후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한 PS를 최종 모델에 공변량으로서 추가한다.
  • outcome 비교를 위한 회귀분석 모델에 PS를 공변량으로 넣는다
    • model: outcome~ 치료군/대조군 + PS
  • 장점 : (모든 회귀분석에 적용할 수 있어서)outcome 분석 방법의 flexibility
  • 단점 :
    • outcome과 PS의 관계가 올바르게 모델 되어야 한다
      • PS가 선형 모델이 맞는지 취약하다.
    • 디자인 단계와 분석 단계의 완벽한 분리가 되지 않는다
      • PS matching이나 weighting은 데이터를 새롭게 만들어서 쓰면 되므로, 데이터 가공단계로서 분석과 별개의 단계
      • 공변량으로 추가하는 것은, 분석단계 실패시, PS를 다시 추정하는 단계로 돌아가 디자인<-> 분석단계가 분리되지 않음.

예제 논문

예제논문1: HPV 백신

20220518162125

  • HPV백신은 임산부들에게 recommend되지 않는데, 임신하지 모르고 맞는 경우가 가끔 있을 것이다.
    • 이 경우, 안전한가? 임신이라는 outcome에 영향을 주지 않는가? 는 중요하다.
    • 의학적으로 중요. HPV 백신 이후에 임신 사실을 알았을 때 어떻게 해야할지 의사결정을 해야하기 때문
    • 임상시험도 할 수가 없어서 관찰연구 밖에 할 수 없다.
  • Research question: 임신 초기에 HPV 백신을 맞을 경우 안전한가?

    • 임신기간 중 HPV 백신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임상시험을 통해 조사할 수 없음 → 후향적 관찰연구만 가능
    • 덴마크의 nationwide register 자료를 이용, 약 7년간 단태아 임신 자료 분석를 분석
  • Outcomes 6가지 분석:

    • major birth defect
    • spontaneous abortion(유산)
    • preterm birth(조산)
    • low birth weight(저체중아)
    • small size for gestational age
    • still birth
  1. HPV백신 맞았다 vs 안맞았다 치료군vs대조군 정의 먼저 나누는데, 이 논문에서는 특이하게 6개의 outcome마다 치료군의 정의를 다르게 했다.

    • outcome마다 치료군을 다르게 한 이유: 각 outcome마다 언제 맞은 HPV백신이 영향이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이 각각 달라서 일 것이다.
    • 치료군을 5군으로 정의했다 -> 같은 데이터지만, 5번의 다른 분석을 한 것이나 마찬가지 -> 총 5번의 PS matching을 한 것이다.
    • 치료군 정의 : 각 outcome 마다 정의가 달라짐
      • major birth defect : 임신 초기 12주 내에 HPV 백신을 맞은 사람
      • spontaneous abortion : 임신 7주~22주에 HPV 백신을 맞은 사람
      • Stillbirth : 임신 7주 이후에 HPV 백신을 맞은 사람
      • preterm birth : 임신 37주 이전에 HPV 백신을 맞은 사람
      • low birth weight, small size for gestational age : 임신 기간 중 HPV 백신을 맞은 사람
    • 대조군 정의 : 치료군이 아닌 사람
    • 즉, 총 5번의 PS matching을 시행

20220518162929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PS matching을 했다.
    • 백신을 맞을 가능성(propability)를 계산함.
  • all baseline characteristics 뿐만 아니라 all two-way interactions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 극단적이긴 한데, 모든 인터렉션을 다 포함했다.
    • PS model에는 설명변수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각 특징 이외에 인터렉션까지 포함시켜서 PS matching을 돌림.

20220518163211

  • 5개의 outcome에 대해 각각 PS matching을 했는데 1:4비율로 시행함.
  • 매칭 수행이 PS score뿐만 아니라. 나이, 임신 시작까지 추가로 넣어서 매칭을 수행했다.

20220518163331

  • 오스틴이 추천하는 nearest with caliper의 방법을 썼다.
  • 하지만, 이 방법은 PS score 단독으로만 사용될 때 쓸 수 있는 matching이다.
    • 앞에 나온 age, calendar year와 부합되지 않는다 -> 약간 걱정됨.
  • SMD를 이용해서 평가했다.

20220518163500

  • 앞 부분은 생존분석을 통해 분석해서 넘어감
  • outcome들에 대해 (이분형 결과변수로 분석했음을 알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서 prevalence OR을 구했다.
    • 앞서 09에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OR을 구해 효과를 추정했었음.
  • GEE 방법을 썼다고 했는데
    • 매칭을 고려해서 쓴 것은 아니고
    • 데이터내 한 여성이 여러번 임신해서 여러번 들어가는 경우, 한 여자에서 나왔으므로 그 데이터들은 독립이 아니기 때문에 독립이 아니다를 보정하기 위해, GEE를 통해 correlation structure를 줘서 보정했다.
      •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pregnancies within the same mother....
    • 매칭을 분석해서 따로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매칭하지 않은 자료로로 분석하되 한 여성이 여러임신한 경우에 대해서만 GEE로 보정했다.

20220518163929

  • PS matching을 5번 했는데, 각각에 대해서, 치료군이라고 생각한 군 / 대조군이라고 생각한 군에 기본 환자 특성만 비교한 표이다.
    • 요약통계량만 나와있고
    • p-value와 SMD를 계산하지 않았다.
      • 수치로 2군간의 balance를 평가한 것 같진 않다.
      • 앞에 기술에 의해 SMD를 이용했다 했으니, 표에만 표기하지 않은 것 같다.

20220518164239

  • table 3가 메인 결과인데
    • 6가지 outcome들이 나오고
    • 임신 중 백신 안맞은 그룹(대조군) vs 백신 맞은 그룹(실험군)을 비교했다.
  • outcome마다 군이 달라진다(정의가 달라서)
  • 각 군별로 안좋은 outcome의 비율이 요약되어있다.
  • OR이 아니라 Measure of Association이라 적혀있는 이유는
    • outcome들 가운데, 어떤 것은 생존분석 -> HR로 report
    • 어떤 것들은 OR로 report 했기 때문일 것이다.
    • 밑에 주석에 mbd, pb, lbw, ssforg에 대해서만 prevalence OR로 계산했다고 나온다.
  • Major birth defect의 Measure of Association을 보면
    • OR가 1.19에 신뢰구간이 1을 포함한다는 것은 2군간 통계적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PS matching을 한 뒤, 임신중 HPV 백신여부는 -> Major birth defect발생에 유의하지 않았다. 2군간 차이가 없다.

예제논문2: CABG vs. PCI

20220518170000

- PCI(스텐트)수술과 캐비지(CABG, 관상동맥 우회술)수술을 비교한 논문
- 오래되고 아직도 디베이트 하고 있는 논문
  • Research question: multivessel disease 환자에서 CABG와 PCI 중에어느 쪽이 결과가 좋은가?
    • CABG : coronary-artery bypass grafting (관상동맥우회술 (수술))
    • PCI :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관상동맥중재술 (스텐트 시술))
    • 기존 연구에서는 second-generation drug-eluting stent로 시술한 PCI를 평가하지 않음
      • 당시에...는 새로운 pci수술을 실험함.
  • Outcomes 4가지:
    • all-cause mortality
    • myocardial infarction
    • stroke
    • repeat revalscularization

20220519115013

  • ps matching을 했다.
  • 치료여부는 PCI냐 CABG냐 였다
  • PCI받을 확률PS score로 추정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했다.
    • nonparsimonious multivariable logistic-regression model : 간단하지 않은 모델 = 설명변수를 아주 많이 넣었다.

20220519115303

  • 매칭은 1:1로 했다.
  • without replacement = greedy-matching을 했다
  • austin 추천방법대로 caliper를 썼다
  • SMD를 계산해서 평가했다

20220519115406

  • 매칭후 분석은 paired된 점을 고려해서 맥니머 테스트를 했고
  • 연속 변수에 대해서는 paired Student’s t-test 를 이용했다

20220519115619

  • table1을 보면 깔끔하게 정리되어있다.
  • 매칭 전/매칭 후를 일단 나누고
    • 매칭 전에는 각 그룹별로 요약통계량 + SMD계산이 됬는데 %로 한 것을 보니 smd x 100을 한 숫자
      • %를 고려하면 매칭전 smd(차이)가 그리 크진 않았다.
    • 매칭 후에는 확실히 smd가 줄었다.
  • 매칭후 balance가 좋아졌다는 것을 smd로 잘 보여줬다.

20220519115721

  • 메인결과는 각 outcome들에 대해서 pci받은 그룹/cabg받은 그룹에 대해 환자수 / event / hr(생존자료분석) / p-value를 보여준다.
  • 지금까지 생존자료분석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배운 이분형 결과변수를 이용한 연구를 찾고 있었는데 없었다.
    • ps matching에서는 생존자료분석 -> HR를 report하는 연구가 많음

예제논문3: VDZ vs. ADA

20220519115946

  • IPTW가 어떻게 기술되어있는지 가져온 논문
  • 크론병에서 2가지 약(VDZ, 베돌리주맙 vs ADA, 아달이무밥)을 비교한 논문
    • 어느 약이 효과가 더 좋은지 연구한 논문
  • Research question : 크론병에서 VDZ과 ADA 중 어느 약이 더 효과가 좋은가?
  • Sicilian Network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데이터를 이용한 관찰 연구
  • Outcomes:
    • failure-free survival (failure: discontinuation of VDZ or ADA due to AE or inefficacy)
    • clinical response: reduction of Harvey-Bradshaw Index ≥3 with concomitant decrease of steroid dosage compared with baseline
    • steroid-free clinical remission (Harvey-Bradshaw Index ‹5 without steroid use)
    • rate of surgery at the end of FU (intestinal resection + stricturoplasty – perianal surgery)

20220519121142

  • 간단하지 않은 모델: 설명변수들에 confounder의심 변수들을 넣었다고 나열해놓음
    • 변수들을 넣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PS를 추정함

20220519121233

  • 추정한 PS를 가지고, IPTW방법으로 weight를 줬는데, stablilized weights를 줬다.
    • 분자에 marginal probability를 곱한 값을 weight로 줬다
  • weight를 줘서 2군간의 balance를 맞추고, SMD로 평가했다.

20220519121340

  • balance를 맞춘 뒤, 계산한 weight를 가지고 로지스틱을 했다.
    • IPTW-adjus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 생존자료 outcome에서도 CoxPH regression에서도 마찬가지로 weight를 줘서 했다.
  • weight를 고려해서 robust standard errors 더 보수적인 방법으로 p-value와 신뢰구간을 계산했다.

20220519121650

  • table2에서 baseline characteristic을 비교했는데
  • 2가지 약재에 속한 그룹별로 나와있는데, 여기서 p-value는 쓰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author들이 알고 있었을 것이다. 리뷰어 요청으로 계산한 듯 보인다.
  • 그 이유는 SMD를 계산한 그래프를 줬기 때문이다.

20220519121804

  • x축이 Absolute mean difference라 적혀있어서 헤깔리는데, 논문을 읽어보면 SMD임을 알 수 있다.
    • 빨간점: 매칭전 SMD
    • 파란점: 매칭이후 SMD
    • 매칭이후에는 모두 0.1보다 작은 SMD를 보인다.
  • 전체 환자에 대해서도 IPTW를 했고, 52주이상 FollowUp된 환자들에 대해서도 IPTW를 계산했다.
    • SMD를 표상의 숫자가 아닌 그래프로 balance를 예쁘게 평가했다.
    • 변수가 많을 경우, 그래프로 나타내면 예쁘다.

20220519122129

  • outcome비교 방법이 OR이 대표적이지만, 여기서는 각 군별로 event ratio를 막대그래프로 직관적으로 보여줬다.
  • main으로 본 outcome은 clinical response + steroid-free remission을 합쳐서 -> 둘중에 하나라도 있었는가이다.
    • VDZ에서는 event 발생 비율이 64.3
    • ADA에서는 event 발생 비율이 83.1
    • 그 event 비율의 차이에 대한 p-value는 0.107
    • 이러한 방식으로도 2분형 결과변수에 대한 두 군간의 차이를 보여줄 수 있다.

임상연구 Do’s and Don’ts

Do’s

  1. 먼저 Research question이 있어야하고, 가설을 먼저 세운다
  2. 그것을 통계적으로 검정가능한 가설로 변환한다
  3. (가설을 test할 수 있도록) 연구 계획을 세운다
    1. 연구 디자인 정하기
      • case-control study? cohort study? RCT? retrospective cohort를 하는데 PS로 confounding을 보정할 것인가
    2. 데이터 수집 방법
    3. 데이터 분석 방법
  4. 계획한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한다
  5. 계획한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한다
  6. 결과를 해석한다
  7. dissemination
    • 학회나 논문으로 발표

Don’ts

  1. Research question과 명확한 가설 없이 일단 데이터부터 모은다
  2. 모아진 데이터로 가능한 분석들을 해본다
  3. 원하는 결과(p<0.05)가 나오지 않으면, 다른 방법으로 다시 분석한다
    • 결과변수의 정의를 바꾼다
    • 설명변수, 공변량을 바꾼다
      • 연속형변수를 범주형 변수로, cutoff를 바꿔가며...
      • 범주형 변수의 변수를 다르게 묶어보고...
    • 환자군을 바꾼다
    • 모델을 바꾼다
    • 각종 subgroup을 본다
  4. p-value<0.05가 나온 것만 발표한다

문제점

  • “Research question과 명확한 가설 없이 일단 데이터부터 모은다”
    • 연구 목적에 맞는 데이터 수집 기회 상실
      • 디자인으로 인한 문제는 통계적으로 해결 어려움
      • 질 높은 연구가 이루어지기 어려움
  • “원하는 결과(p<0.05)가 나올 때까지 방법을 바꿔가며 분석한다”
    • p-value hacking, data dredging
    • 선택적으로 보고된 결과들의 Type I error확률이 유의수준 0.05보다 높아진다
      • 결과를 믿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 Hurts replicability
      • 같은 데이터로 재현은 할 수 있겠지만, 다른 집단에서 다른 연구자가 분석하면 같은 결과가 안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
    • 계속 바뀌는 분석방법으로 인한 피로도, 실수 가능성이 높아진다
    • p-value 중심 연구 방식 자체의 문제
    • p-value는 통계적 유의성만 알려주며, 이것은 임상적 유의성과는 완전히 다르다
    • 귀무가설 기각 여부에 의해 Pass or fail로 나뉘는 dichotomy의 문제

원인

  • p-value<0.05 달성에 대한 보상은 분명함
    • 훨씬 높은 출판 가능성
    • 출판된 논문 → 임용, 승진을 위한 currency
  • 연구계획수립에 대한 보상은 불분명함
    • 미리 수립된 연구계획이 있었는지 여부가 출판 가능성에 거의 영향 없음
    • 연구계획 승인 절차의 부재 (IRB? 국책 과제 심사?)
  • 애초에 연구계획의 중요성을 배운 적이 없음
    • 연구계획 없이 연구 커리어를 이어온 선배 교수의 지도
    • 연구계획의 중요성을 알아도, 연구계획 방법을 모름
  • 통계학의 역할에 대한 오해
    • 데이터를 넣으면 답이 나오는 블랙박스?

해결책

  • 시스템
    • 연구비, 보상 체계
    • 임상과학 연구자 육성을 위한 지원
  • 교육
  • 통계학자, 역학자 등과 협력연구
    • 연구 초반 가설을 세울 때부터 일찍 involve
    • technician이 아닌 collaborator, team member로 상호 존중과 협력

정리하기

  • Propensity score(PS)를 추정한 후 분석하는 방법 중, stratification은 PS 가 비슷한 환자들끼리 strata를 나누어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합치는 방법이다.
  •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IPTW) 방법은 치료군은 1/PS, 대조군은 1/(1-PS)의 weight를 주어 분석하는 방법이다.
  • Covariate adjustment는 outcome model에 PS를 공변량으로 넣는 방법 이다.
  • 임상연구를 수행할 때에는 research question과 가설을 먼저 세우고 그에 맞 는 연구 계획을 세운 후, 계획한 방법으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실시해야한다.
  •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분석 방법을 바꾸어 하며 p-value hacking을 하 는 것은 Type I error 확률을 높이며, 연구 재현성을 해친다.

연습 문제

01 다음 Propensity score analysis 방법 중, 데이터에 weight를 주어서 치료군과 대조군의 baseline covariates의 분포의 차이를 제거하는 방법은?

  1. Matching

  2. Stratification

  3.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4. Covariate adjustment

  • 정답 : 3
  • 해설 : IPTW 방법은 치료군에 1/PS, 대조군에 1/(1-PS)의 weight를 주어, weighted data에서 치료군과 대조군 간 PS 값이 분포가 비슷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baseline covariates의 분포가 두 군간에 비슷해지게 만드는 방법이다.

02 다음 중 임상연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수집 전 먼저 가설을 명확히 세운다.

  2. 연구 계획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3. 계획한 분석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결과변수의 정의를 바꾸거나 환자군을 바꾸어 유의한 결과가 나오도록 한다.

  4. 계획한 분석의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과 관계없이 모두 보고한다.

  • 정답 : 3
  • 해설 : 통계적 유의성을 달성할 때까지 연구 방법을 바꾸는 행위는 p-value hacking으로서, 연구재현성을 해치고 Type I error 확률을 높인다.